지난번 카타에서 Core Logic을 사용해보진 못했다. 숙제로 남겨놓고..
이번 카타는 더블릿(doublet)이란 단어 퍼즐이다.
사전의 단어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두 단어를 연결하는 문제다. 두 단어를 연결하는 단어들 역시 사전에 있어야 하며 이웃한 단어들은 철자가 하나만 달라야 한다.
DOOR 와 LOCK 이란 단어가 있다면, DOOR -> BOOR -> BOOK -> LOOK -> LOCK 의 순서로 한번에 하나씩만 바꿔서 연결지을 수 있다.
BANK와 LOAN은, BANK -> BONK -> BOOK -> LOOK -> LOON -> LOAN 의 순서로 연결지을 수 있다.
그런데 이 문제는 Korean Clojure User Group에 누가 글을 오렸길래 미리 풀어봤다. 이전 카타와 마찬가지로 BFS(loop/recure)로 쉽게 풀리는 문제. 다만 풀어보는 중에 책에서 힌트라고 알려준 tree-seq 는 그것이 왜 힌트인지 잘 모르겠더라.
다시 생각해보면, bfs를 tree-seq로 쉽게 풀수 있지 않겠냐.. 라고 알려주는 것 같다. tree-seq는 tree구조로부터 seq를 만들어주는 adapter 함수이다. bfs는 사실 tree탐색 알고리즘이므로 bfs로 풀고자 하는 tree를 tree-seq로 접근하여 찾아라~ 라는 것이라고 짐작해보면서 이 문제는 일단 패스.
이번 카타는 더블릿(doublet)이란 단어 퍼즐이다.
사전의 단어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두 단어를 연결하는 문제다. 두 단어를 연결하는 단어들 역시 사전에 있어야 하며 이웃한 단어들은 철자가 하나만 달라야 한다.
DOOR 와 LOCK 이란 단어가 있다면, DOOR -> BOOR -> BOOK -> LOOK -> LOCK 의 순서로 한번에 하나씩만 바꿔서 연결지을 수 있다.
BANK와 LOAN은, BANK -> BONK -> BOOK -> LOOK -> LOON -> LOAN 의 순서로 연결지을 수 있다.
그런데 이 문제는 Korean Clojure User Group에 누가 글을 오렸길래 미리 풀어봤다. 이전 카타와 마찬가지로 BFS(loop/recure)로 쉽게 풀리는 문제. 다만 풀어보는 중에 책에서 힌트라고 알려준 tree-seq 는 그것이 왜 힌트인지 잘 모르겠더라.
다시 생각해보면, bfs를 tree-seq로 쉽게 풀수 있지 않겠냐.. 라고 알려주는 것 같다. tree-seq는 tree구조로부터 seq를 만들어주는 adapter 함수이다. bfs는 사실 tree탐색 알고리즘이므로 bfs로 풀고자 하는 tree를 tree-seq로 접근하여 찾아라~ 라는 것이라고 짐작해보면서 이 문제는 일단 패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